다중 서명 지갑의 이해
Last updated
Last updated
다중 서명 지갑・Multi Signature Wallet을 사용하기에 앞서, 다중 서명 지갑에 대해 간단한 이론을 숙지해 주세요.
다중 서명 지갑은 보안과 신뢰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예요. 개인이나 가족부터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용자들이 비트코인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하려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다중 서명 지갑을 올바로 사용하려면 설정, 관리 방법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해요.
일반적인 지갑은 하나의 개인키로 트랜잭션에 서명해요. (트랜잭션에 하나의 서명이 들어가기 때문에, 단일 서명 지갑이라부르기도 해요.) 이와 비교해 다중 서명 지갑은 여러 개의 서명을 필요로 하는 지갑을 말합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m/n(m-of-n으로 발음) 다중 서명 방식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n은 전체 키의 개수, m은 트랜잭션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서명의 개수를 의미해요.
예를 들어, "2/3 다중 서명 지갑"이라면, 3개의 키 중 2개의 키로 서명해야 트랜잭션이 승인됩니다.
보안 강화 2개 이상의 키로 서명하도록 설정하면 하나의 키가 도난 당하더라도 자산 탈취가 불가능해요. 예를 들어, 2/2 다중 서명 지갑이라면 키 하나가 해킹되더라도 해커는 자금에 접근할 수 없지요.
권한 분산 각자의 키를 가진 주체가 공동으로 비트코인을 관리할 때, 특정 키 소유자가 독단적으로 자금을 옮길 수 없도록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2/3 다중 서명 지갑으로 과반수가 찬성하는 경우에만 자금을 집행하기로 합의할 수 있어요. 또, 2/2 다중 서명 지갑이라면, 두 사람이 모두 트랜잭션에 서명해야만 자금을 전송할 수 있어요.
분실 위험 완화 키 하나를 잃어버려도 다른 키로 비트코인에 접근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2/3 다중 서명 지갑이고 2개의 키는 개인이 1개의 키는 타인이 보관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개인의 실수로 키 하나를 분실하더라도 나머지 두 개의 키로 자금에 접근할 수 있어요.
느린 실행 과정
필요한 갯수의 서명이 필요하므로 급하게 트랜잭션을 보내야 하는 상황에서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어요.
높은 수수료
다중 서명 트랜잭션은 일반적인 트랜잭션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포함해요. 서명을 여러 개 포함해야 하니 트랜잭션의 크기가 커지는 거죠. 결과적으로 수수료가 높아질 수 있어요.
키 관리의 복잡성
키를 분산 보관해야하는 만큼 관리가 까다로워요. 특히, 복구 방법을 정해두지 않고 키를 분실하면 비트코인을 영원히 잃어버릴 위험이 있어요.
호환성 문제
드물긴 하지만 모든 지갑이 다중 서명 트랜잭션을 지원하지는 않아요. 또, 다중 서명을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라면 다중 서명 트랜잭션을 처리하지 못할 수도 있어요.
키 분산 관리
모든 키를 한 사람이 보관하거나 한 장소에 보관하지 마세요.
키 백업과 복구 n/m 다중 서명 지갑에서 n개 이상의 키를 복구하지 못하면 자금을 잃게 돼요. 따라서, 종이, 하드웨어, 암호화된 파일 등 백업 방법을 다양화하세요.
신뢰할 수 있는 키 보관자 선정 키 보관을 제3자에 의존하는 경우,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상대여야 해요. 특히 제3자가 키를 악용할 수 없도록 n값을 신중하게 결정해 주세요.
사용자의 이해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다중 서명 지갑을 잘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예요. 일반 지갑보다 설정이 복잡하니 목적과 사용법을 잘 이해하고, 테스트 트랜잭션을 보낸 후 실제 사용을 시작해 주세요.
소규모의 신뢰하는 당사자 간, 1/2 또는 2/2
1/2 - 둘 중 한 명만 서명해도 트랜잭션을 보낼 수 있어요.
2/2 - 부부가 자금을 공동 관리하는 경우 등에 적합하며, 둘 다 서명해야 트랜잭션을 보낼 수 있어요.
개인의 분실 위험 완화, 2/3
1번 키 - '휴대폰'에 보관
2번 키 - '종이'에 받아 적어 보관
3번 키 -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에게 위탁
이렇게 하면 1번 또는 2번 키 중 하나를 분실해도 비트코인에 접근할 수 있어요.
그 밖에 3/5 등 전체 키의 수가 3을 초과하는 방식은 기업 및 단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해요.
다중 서명 지갑은 보안성과 관리 효율 간의 균형을 맞춰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예요.